사회복지 자료등록 지역사회중심재활 CBR 등록
사회복지 자료등록 지역사회중심재활 CBR
[사회복지] 지역사회중심재활 CBR
○ 지역사회중심재활(CBR)
- 목 차 -
Ⅰ. 서론
Ⅱ지역사회중심 재활의 개요
1. 지역사회중심 재활의 개념
2. 지역사회중심 재활사업의 배경(도입과정)
3. 지역사회중심 재활의 이념
Ⅲ. 지역사회중심 재활의 모델
1. 지역사회중심 재활사업의 특징과 원칙
2. 지역사회중심 재활사업의 전달체계
4. 지역사회중심 재활의 평가
Ⅳ. 우리나라의 지역사회중심 재활사업의 서비스현황
1. 추진과정
2. 서비스현황
3. 우리나라 지역사회중심 재활 사업 기관 별 특징 및 역할
Ⅴ. 우리나라 지역사회중심 재활사업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1. 지역사회중심재활사업의 문제점
2. 발전방향
Ⅵ. 지역사회중심 재활사업의 외국 사례
1. 미국
2. 영국
참고문헌
○ 지역사회중심재활(CBR)
Ⅰ. 서론
「춘해보건대학 작업치료과(학과장 조무신)은 지난 12일 ‘아름다운 당신! 당신의 건강한 삶을 위하여’를 주제로 한 건강교실 수료식을 ...
○ 지역사회중심재활(CBR)
- 목 차 -
Ⅰ. 서론
Ⅱ지역사회중심 재활의 개요
1. 지역사회중심 재활의 개념
2. 지역사회중심 재활사업의 배경(도입과정)
3. 지역사회중심 재활의 이념
Ⅲ. 지역사회중심 재활의 모델
1. 지역사회중심 재활사업의 특징과 원칙
2. 지역사회중심 재활사업의 전달체계
4. 지역사회중심 재활의 평가
Ⅳ. 우리나라의 지역사회중심 재활사업의 서비스현황
1. 추진과정
2. 서비스현황
3. 우리나라 지역사회중심 재활 사업 기관 별 특징 및 역할
Ⅴ. 우리나라 지역사회중심 재활사업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1. 지역사회중심재활사업의 문제점
2. 발전방향
Ⅵ. 지역사회중심 재활사업의 외국 사례
1. 미국
2. 영국
참고문헌
○ 지역사회중심재활(CBR)
Ⅰ. 서론
「춘해보건대학 작업치료과(학과장 조무신)은 지난 12일 ‘아름다운 당신! 당신의 건강한 삶을 위하여’를 주제로 한 건강교실 수료식을 가졌다.
건강교실은 집에서 재활치료를 받지 못하는 장애인들에게 인근에 소재한 춘해보건대학 작업치료과 실습실을 이용하여 전문적인 재활치료 서비스를 제공, 방학 중에 비어있는 학교시설을 지역사회의 주민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또 학생들의 자원봉사 활동을 통해 더불어 사는 삶의 표본이 됐다.
프로그램은 매주 오전 10시부터 12시까지 매트운동과 ROM댄스, 핑거페인팅, 비누 만들기, 한지공예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실시됐다.
12일에는 신체기능증진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상지기능평가, 이동평가, 균형평가, 만족도 검사, 음악에 맞춰 단봉운동하기 등의 평가와 타일을 이용한 액자 만들기를 했다.
이런 지역생활중심재활 사업은 지역사회의 협조하여 외곽에 있는 중증재가 장애인들에게 재활치료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이차적인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됐다. 이에 저희 조는 장애인 지역사회중심의 재활이 활성화됨에 따라서 장애인복지론 시간에 지역사회중심에 관하여 좀 더 세부적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Ⅱ.지역사회중심 재활의 개요
1. 지역사회중심 재활의 개념
지역사회중심 재활(Community Based Rehabilitation! : CBR)이란 장애인의 재활과 사회통합을 달성하기 위하여 장애인 자신과 그 가족 및 지역사회의 인적물적 자원을 가동, 활용하고 지역사회를 기초로 하여 채택된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1981년 이후 세계보건기구(WHO)의 중요한 재활 정책으로 권장되어 온 재활방법이다.
이 방법은 첫째, 지역사회 주민들에게 재활에 대한 이해와 책임의식을 고취시키고 자조, 자립의 의지를 강화시킨다. 둘째, 치료, 교육 및 직업훈련과 관련된 기술이나 방법 중에서 가르쳐 주기 쉽고, 쉽게 받아들일 수 있으면서도 효과가 있는 영역을 전수시켜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셋째, 지역사회가 갖고 있는 인력자원을 자원화시켜 재활에 참여시키고 각종 기관 단체의 하위체계(의료, 교육 사회, 심리, 직업재활 등)를 프로그램에 연계 활용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CBR은 장애인을 중심으로 한 지역사회복지의 중요한 이론이 된다고 할 수 있다.
2. 지역사회중심 재활사업의 배경(도입과정)
장애인을 위한 재활사업은 시설을 중심으로 한 재활접근법(IBR)과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재활접근법(CBR)으로 대별된다. 선진국에서 주로 실시되었던 기존의 재활서비스 전달방식은 도시의 시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많은 재정을 투입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서비스의 수요를 담당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그리고 제한된 자원을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재활 접근법의 도입이 필요하게 되었다.
서구사회는 1950년대부터 기존의 시설중심재활에 대한 반성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클라이언트의 입장에서 볼 때 시설은 결코 인간적으로 바람직한 곳이라고 할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탈시설주의에 대한 움직임과 함께 지역사회중심재활이 논의되기 시작하였다.
지역사회중심 재활에 대한 개념과 전략은 1977년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시작되어 현재는 전 세계의 90개국 이상에서 채택되고 있다. 지역사회중심 재활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치면서 발전하였다.
1) 1969년 아일랜드 RI 회의에서 개발도상국에서 현존하는 재활서비스와 필요한 재활서비스 간에 커다란 차이가 있으며 전통적인 시설 중심의 재활서비스만의 확장으로는 이 차이를 좁힐 수 없다는 결론 하에 당시까지 기술, 인력, 전달체계상의 문제를 평가분석하고 새로운 low-cost, wide-coverage의 방법을 모색하자고 결의하였다.
2) 1973년 WHO총회에서는 일반보건영역에서 PHC(Primary Health Care approach)를 시도하고 보급할 것을 결의하였다.
3) 1976년 제29차 세계보건회의에서는 장애예방 및 재활을 위해 정식으로 PHC가 제안되었다.
4) 1979년 WHO는 저개발국 및 개발도상국들의 심각한 재활욕구를 효율적으로 대처하는 방법의 모델로 지역사회중심 재활사업을 소개하였다.
5) 1980년에는 지침서를 만들어 여러 개발도상국에 배포하면서 그 시도를 권장하였다.
6) 1982년 RI 아태지역 회의에서는 WHO가 발간한 지역사회에서의 장애인 훈련을 4년 동안 멕시코, 인디아에서 적용한 효과 및 평가에 대한 회의가 진행되었다.
7) 1983년 WHO는 ‘모든 사람을 위한 재활(rehabilitation for all)’이라는 지역사회중심 재활서비스 기본교재를 발간하였다.
8) 1995년 9월 RI 자카르타 워크숍에서는 지역사회중심 재활사업을 공동으로 제한했던 WHO, ILO, UNESCO의 전문가들이 지역사회재활사업의 이론적 근거가 되는 연구결론을 워크숍에서 발표하였는데, 그 내용은 `CBR CD(community Development) 전략 중의 하나다.` 라는 것이다. 즉, 장애인의 재활을 위해서는 기본적인 건강과 보건뿐 아니라 장애인이 소속된 사회의 전적인 발전과 사회의 기본적인 지지 시스템이 함께 작동되어
[문서정보]
문서분량 : 29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사회복지 자료등록 지역사회중심재활 CBR
파일이름 : [사회복지] 지역사회중심재활 CBR.hwp
키워드 : 사회복지,지역사회중심재활,CBR,자료등록
자료No(pk) : 14010766
Commentai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