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shipshob1040

태자교육의 전통과 서연(書筵) Down JE

태자교육의 전통과 서연(書筵) Down




태자교육의 전통과 서연(書筵)


태자교육의 정의와 그 방법인 서연제도에 대해 기술하나 리포트입니다. 1a태자교육의전통과서연書筵


1. 머리말

2. 태자교육의 전통과 유교이념

3. 서연제도의 성립과 그 성격

4. 맺음말지금까지 태자교육기관으로는 조선시대의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만을 주로 말해 왔으나, 태자교육을 담당하는 제도는 이미 고려시대에도 나타나고 있다.

고려 태조 왕건이 최언위(崔彦撝)를 태자사부(太子師傅)로 삼아 「문한지임(文翰之任)」을 맡겼다는 기사(『고려사』 「崔彦撝傳」)에서 이미 고려 건국 초기부터 태자교육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고려 현종(顯宗) 13년(1022)에 태자를 세우고 사보(師保) 및 관속(官屬)을 두었고, 문종 22년(1068)에는 太師, 太傅, 太保 각1인(종1품), 少師, 少傅, 少保 각1인(종2품), 빈객(賓客) 4인(정3품) 이 밖에도 문종 22년(1068)에 정해진 동궁관(東宮官)의 당하관(堂下官) 정원과 품계로는 좌우서자(左右庶子) 각1인(정4품), 좌우유덕(左右諭德) 각1인(정4품), 시강학사(侍講學士) 시독학사(侍讀學士) 각1인(종4품) 등이다. 『고려사』 志 권제31 백관2 동궁관. 등을 세웠다. 여기서 보이는 「태자관속」이 태자의 교육을 담당하는 기관임을 알 수 있다.

고려시대에 「서연」이라는 단어가 처음 등장하는 것은 명종(明宗) 때로, 『고려사』에 의하면, “서연의 여러 유생(儒生)들을 보문각(寶文閣)에 모아 「增續資治通鑑」을 원본과 대조하여 교정(讎校)케 하고...”(『고려사』 卷20 명종22/04/壬子;1192)라는 기사가 보이며, 이어 신종(神宗) 원년 3월에는 “元子가 처음으로 「서연」을 寶文閣에 열었다”(『고려사』 卷21, 신종元年/03/乙巳)는 기사가 보인다.

앞의 기사는 “서연에 소속되어있는 유생들”이라는 뜻으로 서연이 관청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이며, 뒤의 기사는 보문각에서 서연이라는 교육활동이 시행되었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한편 조선시대에 들어와 세자교육을 담당하는 부서로서 가장 먼저 만들어진 것은 고려시대의 태자관속과 마찬가지로 「세자관속」(世子官屬)이었다.

태조 1년(1392) 7월 관제를 새로 정할 때[官制新定]에 “「세자관속」을 설치하여 세자를 위한 강학(講學)과 시위(侍衛) 등의 일을 겸해 관장하고...”(태조 001 01/07/28丁未)라 하였는데, 이 세자관속이라는 용어는 그 후 사용되지 않은 채, 「서연」과 (세자)시강원이라는 표현이 주로 나타나고 있다.

조선시대 「서연」기사로는 정종 2년(1400)에 맹사성이 5개 조목을 상언하며 <전하가 동궁에 계실 때에 서연을 열어 『大學衍義』를 강론하였으니>(정종 006 02/11/13癸酉)라 하여 세자에 대한 교육활동으로서 「서연」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 밖에도 <왕세자가 서연을 열다>(태종 035 18/06/20己亥), <왕세자가 비로소 서연을 열다>(세종 014 03/12/26乙卯), <서연관과 빈객의 사고시 서연의 절차에 대해 정하다>(세종 018 04/12/23乙巳) 등. 태종 5년(1405)에는 <육조(六曹)의 직무분담과 소속아문을 상정>(태종 009 05/03/01丙申)하여 세자에 대한 시강을 맡는 관청임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조선 세조 10년(1464)의 <서연과 금루(禁漏)를 옮긴 일의 편부를 논의하여 아뢰게 하다>(세조 033 10/05/29辛巳)라는 기사는 궁중의 물시계를 예전에 서연이 열리던 곳으로 옮겼다는 뜻에서 서연이 ‘장소의 의미‘로 쓰여지고 있다.

그러나 서연의 성격과 관련하여 13세기 후반 원(元)의 간섭을 받게 된 충렬왕(忠烈王) 원년(1275)에는 태자부(太子府) 고려 때 태자의 궁사(宮事), 시종(侍從), 진강(進講)의 일을 맡은 관아. 가 세자부(世子府)로 바뀌고 「태자」라는 용어도 제후국에서 사용되는 「세자」로 격하된 적이 있었다. 이 때 「서연」은 세자가 아닌 왕을 위한 교육제도로(『고려사』 백관지1, 寶文閣條), 그리고 세자교육은 세자부에서 담당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같이 왕을 위한 「서연」이 다시 예전의 「경연」으로 개칭된 것은 고려말기 공양왕(恭讓王) 2년(1390)의 일이며(『고려사』 卷45 恭讓王02/01/丙子),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도 『태조실록』(태조 001 총서)에 보이는 서연기사는 여전히 고려시대 임금에게 진강하는 의미의 「서연」이 섞여 쓰여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문서정보]


문서분량 : 6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태자교육의 전통과 서연(書筵)

파일이름 : 태자교육의 전통과 서연(書筵).hwp

키워드 : 태자교육의,전통과,서연,書筵

자료No(pk) : 16133310

조회수 1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조직심리학 - 당신이 종업원이 100명 정도 되는 큰 규모의 전문 한식당을 개업한 사장이라고 가정해 보십시오 1 Up GW

조직심리학 - 당신이 종업원이 100명 정도 되는 큰 규모의 전문 한식당을 개업한 사장이라고 가정해 보십시오 1 Up 파일자료 (다운로드).zip 조직심리학 - 당신이 종업원이 100명 정도 되는 큰 규모의 전문 한식당을 개업한 사장이라고 가정해...

영국의 지역사회복지실천 모형에서 엘리자베스 구빈법과 구빈법에 설명하시오 보고서 ML

영국의 지역사회복지실천 모형에서 엘리자베스 구빈법과 구빈법에 설명하시오 보고서 문서파일 (File).zip 영국의 지역사회복지실천 모형에서 엘리자베스 구빈법과 구빈법에 설명하시오 영국의 지역사회복지실천 모형에서 엘리자베스 구빈법과 구빈법에...

푸쉬킨의 벨킨 이야기를 읽고 레포트 XE

푸쉬킨의 벨킨 이야기를 읽고 레포트 문서 (다운로드).zip 푸쉬킨의 벨킨 이야기를 읽고 푸쉬킨의 벨킨 이야기를 읽고 푸쉬킨의 벨킨 이야기 이번 학기 시작하면서 교수님께서 러시아 문학 즉 우리가 이번 학기에 배운 모든 것 중에 하나를 선택해서...

Comments


게시물: Blog2_Post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