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이드와 에릭슨 업로드 에릭슨의 사회심리 발달이론과 프로이드의 정신역동이론 Up
프로이드와 에릭슨 업로드 에릭슨의 사회심리 발달이론과 프로이드의 정신역동이론
[프로이드와 에릭슨] 에릭슨의 사회심리 발달이론과 프로이드의 정신역동이론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프로이드에 대하여..
프로이드는 1856년 5월 6일, 현재는 체코슬로바키아의 영토가 된 모라비아의 프라이버그에서 8남매 중 맏아들로 출생하여 생애의 대부분을 비엔나에서 보냈다. 그는 빈민가에서 자라면서 자신이 학대받는 소수민족인 유대인임을 항상 의식하였고, 유대인은 의학이나 법학을 전공하지 않고는 마땅한 직업을 갖기 어렵다는 생각으로 의학을 전공하였다.
프로이드는 신체적인 결함이 없으면서도 여러 신경증적인 증상(손의 마비, 시야의 흐려짐, 왜곡되어 보는 것 등)을 보이는 환자를 치료하는 과정에서 감정, 충동, 환상 등 내적인 세계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프로이드의 가족배경은 그의 정신분석이론을 이해하는데 자주 거론될 만큼 그의 이론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프로이드 아버지는 그 시대의 보통사람들이 그러하듯 권위적인 사람이었으며, 어머니는 매력적이고 정이 깊었으며 사려 깊게 보살펴주는 사람이었다. 프로이드는 아버지가 세상을 떠났을 때 자신이 느낀 혼란스러운 감정으로 인해서 자신의 꿈을 얻었고,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발견했다고 말했다. 즉, 꿈의 의미를 탐색하면서 성격발달의 역동성에 대한 통찰력을 얻었으며, 아동기 기억을 검토하면서 아버지에 대해 느꼈던 강한 적대감과 어머니에 대한 성적 감정을 깨달은 것이다. 몹시 질투했던 갓난 동생이 죽은 후 일생동안 느껴야 했던 죄책감, 어린 시절에 목격한 어머니의 나체에 대한 강한 성적 흥분, 가부장적이던 아버지에 대한 증오와 반발 등 가족 내에서의 경험들이 프로이드로 하여금 인간의 심층 심리에 관심을 갖게 했으며, 무의식을 인간행동과 성격의 결정요인으로 중시하게 하였다.
프로이드의 일생 중 가장 창조적인 시기는, 그가 심한 정서적 갈등을 경험한 시기와 일치하는데, 40대 초반에 프로이드는 죽음에 대한 공포와 그 밖의 다른 공포증과 더불어 다양한 정신 신체적 장애를 겪으면서 이 시기 동안 자기분석이라는 어려운 과제를 수행하였다.
프로이드는 매우 창조적이고 생산적이었으며, 하루에 18시간이나 연구를 하는 경우도 자주 있었는데, 턱에 암이 걸렸던 생애 후반까지도 연구를 계속하여 그의 전집은 총24권이나 되었다. 생애의 마지막 20년동안 33번씩이나 수술을 받았으며, 끊임없는 고통속에서 살다가 나치를 피해 1938년 영국으로 이주한 다음해인 1939년 9월23일 런던에서 숨을 거두었다.
1. 개요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
프로이드는 어린 시절의 꿈이나 사고, 기억의 분석을 통해서 이루어진 이론인데 비해, 에릭슨의 이론은 사회적 경험을 통해서 이루어진 자아의 분석을 기반으로 하여 형성된 이론이다. 그러나 프로이드가 이드(id)를 중시하여 방어기제로 표출되는 여러 행동적 증상 뒤에 숨어있는 이드의 모습을 파악하려고 애쓴 반면에, 에릭슨은 이드를 소홀히 한 한편, 인간의 현실적 행동에서 보여지는 모습 즉, 자아의 분석에 치중하였다. 다시 말하면, 프로이드가 해저에 비유되는 무의식의 흐름을 중시했다면, 에릭슨은 해면에 비유되는 의식의 흐름에 관심을 가졌다.
프로이드 이론은 다섯 단계에 걸쳐서 완성되는 성격발달의 이론을 제시하였다. 그는 세 단계에 걸쳐 성인이 되면, 개인의 성격형성은 종결되는 것을 가정하고, 그 이후에는 성격이 변용되기 어려움을 시사하고 있다. 그런데, 에릭슨은 전 생애를 계속적인 발달의 단계로 보고, 이를 8단계로 구분하였다. 에릭슨에 따르면, 성인이란 발달이 완료된 상태가 아니라, 발달과정의 한 상태에 해당된다. 출생후 초기에 아동이 겪는 경험이 중요하다는 사실에는 두 이론
이 일치한다. 프로이드에 의하면 영아기에 어머니의 젖을 빨면서 따뜻하고 부드러운 몸과 신체적으로 접촉하는 것은 입의 빠는 욕구를 만족시키는 것이며, 에릭슨에 의하면 어머니에 대한 신뢰감을 형성하는 일이 된다. 이와 같이, 어머니와의 초기 경험이 중요하다는 것은 일치하는 사실이나, 그 기본 기제에 대한 설명에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프로이드는 개인의 성격발달이 리비도에 의해 유발되는 욕구의 충족에 좌우된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에릭슨은 아기의 자아가 어머니와의 관계에서 형성하는 신뢰감이 기틀이 된다고 말하고 있다. 특히 에릭슨이 부모뿐만 아니라 사회적 환경과 자아의 상호 작용을 중시한 점은 프로이드와 크게 차이를 보이는 점이다.
정신분석은 소정의 교육과 훈련을 받은 정신분석가와 정신적 문제를 가진 환자인 피분석자간의 치료계약에 의해 시작된다. 환자는 대개 장의자에 비스듬히 눕고 분석의는 그 뒤편에 앉는다. 분석 시간은 1회당 45분 정도로 매주 4~5회 2년 이상 실시한다. 치료자는 미리 계획된 질문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환자의 마음속에서 일어나는 생각을 자유로이 그리고 숨김없이 표현하는 자유연상을 시킨다. 이 때 치료과정을 통하여 전이가 일어나는데 이는 환자가 유아시절에 부모나 부모 대행자로부터 경험했던 사랑과 미움의 감정이 치료자를 향해 재현되는 현상이다. 신뢰와 사랑이 두드러질 때를 긍정적 전이라 하고, 증오와 불신이 생길 때를 부정적 전이라 한다. 때에 따라서 이러한 유아기의 감정이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전이신경증이 생기기도 한다. 치료과정 중 자신의 무의식적 갈등이나 감정을 드러내지 않으려 하는 환자의 무의식적 기도를 저항이라 한다. 환자는 무의식적 요소가 의식화되는 것이 고통스러우므로 이를 억압하려 한다. 즉 자유연상이 되지 않고 중단되거나, 치료시간에 결석하거나 지각하거나 하는 것이다. 치료자는 혼자가 말한 사실에 대해 치료자와 환자가 더 상세하고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환자가 그 의미를 더 정확하게 알게끔 명료화하기도 한다. 또한 환자의 말이 모순되거나 일관성이 없을 때 이를 지적하고 설명해 보라고 하는 직면의 기법도 사용된다.
치료자는 자신이 파악한 전이와 저항, 그리고 방어기제, 무의식의 내용 등을 적절한 시기에 환자가 이해하게끔 그 의미를 해석해 준다. 그러나 감정적으로는 중립을 취한다. 중립이란 치료자의 태도가 허용적일 뿐만 아니라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기준을 치료에 적용해서는 안 된다는 원칙을 말한다. 충고나 암시 및 지시를 최소한 줄이며, 치료자는 자신의 환자에 대한 무의식적인 감정적 반응(치료자가
[문서정보]
문서분량 : 22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프로이드와 에릭슨 업로드 에릭슨의 사회심리 발달이론과 프로이드의 정신역동이론
파일이름 : [프로이드와 에릭슨] 에릭슨의 사회심리 발달이론과 프로이드의 정신역동이론.hwp
키워드 : 프로이드와,에릭슨,사회심리,발달이론과,프로이드,정신역동이론,업로드,에릭슨의,프로이드의
자료No(pk) : 11007844
Comments